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위소득 100% 기준? 확인방법부터 혜택까지 총정리

by notee 2025. 5. 9.

    [ 목차 ]

중위소득 100%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 헷갈리셨죠?
정부지원금, 청년통장, 복지정책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기준 중위소득. 기준은 알쏭달쏭한데, 놓치면 지원 대상에서도 빠질 수 있다는 사실!
이번 글에서는 기준 중위소득 100% 기준이 뭔지, 내가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그리고 받을 수 있는 혜택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중위소득 100% 란?

기준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하며, 기준 중위소득 100% 라고도 하죠!

이는 과거 ‘최저생계비’ 개념에서 진화한 것으로, 상대적 빈곤과 사회 보장 필요성을 반영하여 매년 기준 중위소득으로 고시됩니다.

 

 

📌 보건복지부는 매년 8월 1일까지 기준 중위소득(=중위소득)을 공표하며, 복지급여 대상자 선정, 청년정책, 주거·의료급여 등 모든 정부제도의 기준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산정 방식

보건복지부는 기준 중위소득을 다음 방식으로 산정합니다.

 

 

📊 기초 통계자료: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활용

기본 증가율: 최근 3년간 중위소득 증가율 평균

추가 증가율: 기준 중위소득과 실제 통계 간 격차 해소를 위한 보정치

 

※ 급격한 경기 변동 시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의결을 통해 수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저소득층의 최저생활 보장 취지를 반영한 구조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기준 중위소득 100%기준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100% 기준 총정리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2024년 8월 1일까지 고시되어 각종 정책에 반영됩니다. 아래는 1인부터 6인 가구까지 기준 중위소득 100% 및 50%, 200%로 정리한 표입니다.

가구원 수 중위소득 50%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200%
1인 1,196,006원 2,392,013원 4,784,026원
2인 1,966,329원 3,932,658원 7,865,316원
3인 2,512,676원 5,025,353원 10,050,706원
4인 3,048,886원 6,097,773원 12,195,546원
5인 3,554,096원 7,108,192원 14,216,384원
6인 4,032,402원 8,064,805원 16,129,610원

 

💡 내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몇 % 인지에 따라 정부 혜택 대상이 결정됩니다.

 

 

내 중위소득 % 확인하러 가기👆

 

 

기준 중위소득 확인방법

내 소득은 기준 중위소득의 몇 % 일까? 이제 기준 중위소득 계산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1인 가구는 본인의 세전소득 기준

📌 2인 이상 가구는 주민등록등본상 가구원의 합산 세전소득 기준

예) 1인가구 월 220만 원 소득 → 약 기준 중위소득 90%에 해당

 

📌 정확한 세전소득을 모를 땐? 건강보험료로 대략 확인 가능!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내가 낸 건강보험료를 조회해 나의 기준 중위소득 구간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소득 부과 건강보험료 조정 정산 제도 소득(사업, 근로, 이자, 배당, 연금, 기타소득)에 대하여 보험료 조정·정산을 신청한 경우, 다음 해 11월에 국세청 등 확인소득으로 조정한 연도의 보험료를

www.nhis.or.kr

 

✔ 공식 계산식: 건강보험료 ÷ 0.03545 (건강보험료율 3.545%) = 세전소득 (직장가입자 기준)

예) 건강보험료 90,000원 납부 시 → 90,000 ÷ 0.03545 ≒ 2,538,787원

👉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 110% 구간

 

 

내 소득구간 바로 확인하기👆

 

 

1.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라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는 복지급여(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의 핵심 기준입니다.
아래와 같이 세부 급여별로 수급 대상 기준이 나뉩니다.

급여항목 중위소득 기준
생계급여 중위소득 32% 이하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이하
주거급여 중위소득 48% 이하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이하

 

 

2. 중위소득 250% 이하도 활용됩니다

고소득 구간으로 보일 수 있는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역시 다양한 정책에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일부 신혼부부·다자녀 전세자금 지원, 보육료 차등지원 기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면 월소득 약 1인 5,980,000원(2025 기준) 이하로 계산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기준 중위소득 100%기준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100% 기준 총정리

 

 

중위소득은 어디에 활용되나요?

현재 다양한 정책들이 기준 중위소득 기준에 따라 설계되어 있답니다. 아래에 대략적으로 정리해 두었으며, 일부는 지방자치단체별 세부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지자체 복지포털 확인도 함께 권장드립니다.

 

청년도약계좌: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 가입 가능, 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지원 차등

청년내일저축계좌: 중위소득 100% 이하 대상, 월 10만~30만 원 정부지원금 추가 적립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32%), 의료급여(40%), 주거급여(48%), 교육급여(50%) 이하 가구에 지급

아동급식 지원: 중위소득 60% 이하 가구 아동에게 급식비 지원

국민취업지원제도: 100~120% 이하 구간에 맞춰 1유형 또는 2유형 구직촉진수당 지급

긴급복지지원제도: 중위소득 75% 이하로 실직, 질병, 주거 위기 발생 시 긴급 생계비·의료비 지급

한부모가족 지원: 중위소득 60~65% 이하일 경우 양육비, 교육비 등 추가 지원

국공립어린이집 보육료: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에 지원 확대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노령자·장애인 중위소득 기준 이하자에 한해 지급 대상 선정

대학생 국가장학금 Ⅰ유형: 중위소득 100~200% 이하 구간에 따라 차등 지급

청년특례보증제도: 중위소득 150% 이하 청년 대상, 무보증 저리대출 가능 (서민금융진흥원)

청년 월세 지원: 중위소득 100% 이하 무주택 청년 대상, 최대 20만 원 월세 지원 (국토부)

장애인활동지원급여: 중위소득 70% 이하 장애인 대상, 활동보조인 비용 지원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중위소득 100% 이하 독거노인 대상, 방문 돌봄 서비스 제공

경단녀 재취업 지원: 중위소득 150% 이하 경력단절여성 대상 직업훈련, 상담 등 지원

다문화가정 지원사업: 중위소득 130% 이하 가정 대상 통역, 교육, 자녀 돌봄 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중위소득 150% 이하 출산가정 대상 산모도우미 서비스 지원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중위소득 100% 이하 가정 청소년 대상 학습 및 생활 지원

한시 생계지원금·에너지바우처: 소득위기 발생 시 중위소득 75~100% 이하 가정에 한시적 지원

 

💡 정책마다 기준 중위소득 기준은 다르며, 일부는 '소득인정액(재산 포함)' 기준으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기준 중위소득 구간에 따라 신청 가능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정확히 확인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세한 정책 내용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중위소득 활용 제도 요약

중위소득 100% 이하 – 청년내일저축계좌, 아동급식지원 등

중위소득 120~180% – 청년도약계좌 신청 구간

중위소득 50% 이하 – 생계·의료·교육급여 등 복지 수급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 일부 자산형성·전세자금 보조 구간

 

💡 기준 중위소득이란? 이 질문의 해답은 정책을 받을 수 있는 자격기준을 알려주는 열쇠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기준 중위소득 100%기준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100% 기준 총정리

 

 

자주 묻는 질문

Q1. 세후소득으로 기준을 봐야 하나요?
A1. 아닙니다. 모든 기준은 항상 세전소득 기준입니다.

 

Q2. 부모님과 함께 거주 중인데 가구원 소득은 합산하나요?
A2. 주민등록등본상 같은 세대일 경우 합산해야 합니다.

 

Q3. 가구원 중 소득이 없는 사람이 있어도 포함되나요?
A3. 네. 가구원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소득 유무와 상관없이 포함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Q4.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달라지나요?
A4. 네. 물가 및 가계 경제 상황에 따라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조정 발표합니다.

 

Q5. 청년도약계좌는 130% 이하가 유리하다는데 맞나요?
A5. 맞습니다. 구간별로 정부지원금이 다르므로, 소득이 낮을수록 더 유리한 조건으로 가입 가능합니다.

 

Q6. 세전소득 계산이 복잡하면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6.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건강보험료 납부 내역을 확인하면 간접 계산이 가능합니다.

 

Q7. 건강보험료만 보고 내 소득구간을 알 수 있나요?
A7 직장가입자 기준으로는 대략적으로 계산 가능하며, 자영업자는 지역가입자 기준표를 따릅니다.

 

Q8. 소득기준이 달라지면 기존 가입자는 어떻게 되나요?
A8. 기존 가입자는 유지되며, 신규 신청자만 최신 기준을 따릅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기준 중위소득 100%기준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100% 기준 총정리

 

 

중위소득 100% 지금 확인하세요!

기준 중위소득은 복잡해 보이지만, 정확히 알고만 있어도 놓쳤던 정책을 받을 수 있는 기준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을 모르면 정부지원도 놓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50% 이하, 250% 이하 등 다양한 구간이 정책마다 기준이 다르니 꼭 확인하세요!


이 글을 통해 기준 중위소득 확인방법까지 익혔다면, 이제 정책 활용은 훨씬 쉬워질 거예요 😊

지금 내 소득이 몇 % 인지 확인하고, 정부 정책 지원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기준 중위소득 100%기준 중위소득 100%기준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100% 기준 총정리

 

 

함께 보면 좋은 글
 

기초연금 수급자격 재산 기준은?|모의계산·신청방법 총정리

기초연금 수급자격 재산 기준과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안내. 기초연금 모의계산부터 신청방법까지 2025년 기준 최신 정보 총정리!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제도, 바로 기초연금

thing.noteeforest.com

 

 

주거급여 신청자격, 지원금액, 수급자 혜택 총정리 (2025년 최신)

혹시 아직도 매달 빠져나가는 월세 때문에 속앓이 하고 계신가요? 😥2025년부터 더 넓어진 ‘주거급여’ 제도를 알고 나면, 지금 바로 신청하고 싶어 질지도 모릅니다. 오늘은 주거급여 신청자

littleforestt.tistory.com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 신청자격 총정리 (최대 300만원✅)

일자리 구하기 막막하신가요? 😥월 50만 원씩 6개월, 구직활동비까지 지원해 주는 ‘국민취업지원제도’로 다시 시작해 보세요!청년부터 중장년까지, 지금 신청만 해도 새로운 시작에 큰 도움

thing.noteeforest.com

 

아이돌봄 서비스 홈페이지 신청방법 총정리✅ (지원 혜택 확대!)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확대된 정책으로 많은 부모님들에게 큰 도움이 될 아이돌봄 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3월 31일부터 ‘다자녀 가정’ 인정 범위가 3자녀에서 2자녀

thing.noteeforest.com